아시카가 요시타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카가 요시타네는 무로마치 막부의 10대 쇼군으로, 1466년에 태어나 1523년에 사망했다. 그는 1490년에 쇼군에 취임했으나, 1493년 호소카와 마사모토에 의해 폐위되어 '메이오 정변'을 겪었다. 이후 유랑 생활을 하다가 1508년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으로 쇼군직에 복귀했지만, 호소카와 다카쿠니와의 대립으로 다시 실각했다. 요시타네는 쇼군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개명을 하였으며, 그의 사후 아시카가 가문은 분열되어 새로운 전란의 원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3년 사망 - 김전
김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훈구파의 중진으로 활동하며 기묘사화에 가담하여 사림 세력을 숙청하는 데 협력한 인물이다. - 1523년 사망 - 루카 시뇨렐리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루카 시뇨렐리는 인체 해부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동적인 누드 묘사에 능했으며, 대표작으로는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최후의 심판》이 있다. - 1466년 출생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1466년 출생 - 윤여필
윤여필은 중종반정 공신이자 장경왕후의 아버지로서 국구의 지위에 올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탄핵과 비판에 직면하여 몰락 후 복권된 인물로, 그의 가계는 조선시대 유력 가문으로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 무로마치 막부의 정이대장군 - 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무로마치 막부의 제8대 쇼군으로, 오닌의 난 발발의 원인 제공자 중 하나로 지목되지만 히가시야마 문화를 꽃피우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 무로마치 막부의 정이대장군 - 아시카가 요시카쓰
아시카가 요시카쓰는 1434년에 태어나 1442년 9세의 나이로 무로마치 막부의 7대 쇼군이 되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으로 실권을 호소카와 모치유키 등이 장악했고, 1443년에 1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아시카가 요시타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전국 시대 |
출생 | 1466년 9월 9일 |
사망 | 1523년 5월 23일 |
개명 | 의재 → 의윤 → 의식 |
별칭 | 흐름 공방 섬 공방 도서 공방 아와 공방 규슈 대수 아와지 어소 증선원전 이마데가와 전 이마데가와 어소 |
계명 | 혜림원전도순암산대거사 혜림원전암산도순대선정문 혜림원嘩산도凞 |
묘소 | 서광사 |
관위 | 종5위하 좌마두 종4위하 우근위중장 참의 종3위 권대납언 종2위 증종1위·태정대신 |
막부 | 무로마치 막부 제10대 장군 (1회: 1490년-1493년, 2회: 1508년-1522년) |
씨족 | 아시카가 씨 (아시카가 쇼군가) |
아버지 | 아시카가 요시미 |
어머니 | 히노 요시코 (우라마츠 시게마사의 딸) |
양아버지 | 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히사 |
형제 | 요시타네 짓소인 요시타다 자쇼인 슈카 조젠인 료겐 미즈노 요시즈미? 슈쿠케이 세이주 |
배우자 | 정실: 세이운인 (호소카와 시게유키의 딸) 측실: 야마나 도요시게의 딸 |
자녀 | 다케오마루 딸 |
양자 | 요시쓰나 요시하루 요시타카 (구조 마사모토의 아들, 산보인 문적) 롯카쿠 요시자네? |
쇼군 재임 기간 | |
1차 | 1490년 - 1493년 |
2차 | 1508년 - 1521년 |
이름 | |
초기 이름 | 아시카가 요시키 (足利 義材) |
2. 생애
문명 9년(1477년), 응인의 난이 끝난 후, 패배한 서군 측이었던 아버지 요시미를 따라 교토를 떠나 미노로 갔다. 장향 3년(1489년), 9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히사가 요절하자 후계자로 지명되어 교토로 돌아갔다. 아시카가 요시마사 사후 제10대 쇼군에 취임했다.
쇼군 취임 후,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대립했고, 명응 2년(1493년) 명응의 정변으로 쇼군직에서 폐위되어 유폐되었으나 탈출했다. 이후 에치고, 에치젠 등지에서 여러 다이묘의 지원을 받으며 쇼군 복귀를 노렸다.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으로 영정 5년(1508년) 교토를 점령하고 쇼군직에 복귀했다. 그러나 요시오키가 주방으로 귀국하자 호소카와 다카쿠니(마사모토의 양자)와 대립, 다이에이 원년(1521년) 교토를 떠나 쇼군직을 빼앗겼고, 다이에이 3년(1523년) 망명지 아와에서 사망했다.
2. 1. 쇼군 취임과 명응의 정변
足利 義稙|아시카가 요시타네일본어는 1490년에 쇼군으로 임명되었다.[3] 이듬해 호조 소운이 이즈 국을 장악했다. 1493년, 하타케야마 요시토요는 요시타네를 퇴위시켰다.[3] 같은 해, 요시타네는 호소카와 마사모토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공식적으로 11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즈미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6]분정 원년(1466년) 7월 30일, 아시카가 요시미의 아들로서 아버지의 근시인 타네무라씨 저택에서 태어났다.[26]
오닌 원년(1467년) 1월 오닌의 난이 발발하자, 아버지 요시미는 형이자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마사와 대립하여 9월에는 동군에서 산문으로 도망친 뒤, 서군에 합류했다. 이때 동군의 다케다 노부카타가 요시자이를 보호하여 서군에 보냈다고 한다.
분메이 5년(1473년)에 요시마사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히사가 9대 쇼군이 되고, 분메이 9년(1477년) 11월에 오닌의 난이 종결되자, 요시미와 요시자이 부자는 서군의 일각이었던 미노 국의 도키 시게요리, 사이토 묘춘의 보호 아래 가와테 근처 아카네부에 하향하여, 이듬해 분메이 10년(1478년) 8월에, 다이묘쇼 요시마사와 요시미의 화의가 정식으로 성립된 후에도 미노 국에 머물렀다.[27]
요시자이는 조쿄 원년(1487년) 1월 2일, 요시히사의 양자로서 원복하고, 같은 해 8월에는 요시히사의 어머니 히노 도미코(요시자이의 외숙모이기도 하다) 등의 추천으로 미노 국에 머문 채 종5위하・좌마두에 서위되었다.
조쿄 3년(1489년) 3월 26일, 요시히사가 옛 서군이었던 오미 국의 롯카쿠 다카요리 정벌(조쿄·엔토쿠의 난)에 참진 중 사망하자, 아버지 요시미, 도키 시게요리, 사이토 묘준과 함께 상락하여 요시히사의 장례식에 참례하려 했으나, 이때 호소카와 마사모토의 반대로 장례식이 끝난 후에야 입경했다. 마사모토는 요시히사와 요시자이의 사촌이며 호리고에 공방・아시카가 마사토모의 아들인 향엄원 세이코(향엄원을 계승하고 출가했던, 후의 아시카가 요시즈미)를 쇼군 후계자 후보로 추천하여 요시자이의 쇼군직 계승에 반대했으나, 요시마사와 도미코 부부가 요시자이를 지지했기 때문에, 요시자이의 쇼군 취임이 거의 확정되었다.
엔토쿠 2년(1490년) 1월에 요시마사가 사망하고, 7월 5일에 요시자이가 10대 쇼군에 취임하여, 같은 날 판시 등 대시의 의식을 거행했다.[28]
초기, 정치 실권을 장악하고 “다이묘쇼(大御所)”라 칭한 아버지 요시미가 엔토쿠 3년(1491년) 1월에 사망한 후에는, 전 간레이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와 협조하여 독자적인 권력 확립을 기도한다. 그러나 옹립의 공로자인 히노 도미코와, 원래 기요아키 지지파인 호소카와 마사모토(일시 간레이가 되었지만 곧 사임)와는 대립하게 되었다. 같은 해 8월, 요시히사의 유지를 이어, 마사모토의 반대를 무릅쓰고 롯카쿠 다카요리 정벌을 재개, 스스로 오미 국에 출진하여 다카요리의 추방에 성공하였다. 메이오 2년(1493년) 2월에는, 오닌의 난 종결 후에도 분열 상태가 계속되고 있던 하타케야마 씨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의 대항자 하타케야마 요시나리가 사망한 것을 이용하여, 요시나리의 후계자 하타케야마 요시토요를 토벌하기 위해, 다시 마사모토의 반대를 무릅쓰고 하타케야마 마사나가 등을 거느리고 가와치 국에 갔다.
그러나 요시타네가 교토를 비운 사이, 교토에 남아 있던 호소카와 마사모토, 히노 도미코, 이세 사다무네 등은 같은 해 4월, 기요아키를 11대 쇼군으로 옹립하여 요시타네를 폐하는 봉기('''메이오 정변''')를 일으켰다. 마사모토의 봉기의 최대 원인은, 요시타네가 쇼군 취임 시에는 정무는 당시 간레이였던 마사모토에게 맡긴다고 말하면서, 성장하자 스스로 정무를 행하려고 한 것, 즉 쇼군과 간레이 중 누가 막정의 주도권을 잡을 것인가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교토에서는 요시타네파 사람들의 숙청이 행해져 시가는 소란스러워졌고, 자신이 임명한 쇼군의 폐립에 분노한 고쓰치미카도 천황은 한때 항의를 위해 퇴위를 표명하고, 그 후에도 정변을 좀처럼 승인하지 않아, 그 때문에 기요아키의 정이대장군 선하는 정변으로부터 8개월 이상 지난 12월 27일에 행해졌다. 이러한 사정 때문인지, 『공경보임』에서는, 요시타네에서 요시즈미로의 쇼군 교체는 고쓰치미카도 천황의 사후에 행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마사모토측의 헌금 부족에 의해 조정의 움직임이 더뎠을 뿐이라는 설도 있다[29]). 마사모토는 군을 가와치 국에 파견하여 요시타네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격파하고, 마사나가는 자결하였다. 요시타네는 손씨(尊氏) 이래 아시카가 쇼군가에 전해지는 가보의 갑옷 “고소데(御小袖)”와 “고켄(御剣)”만을 가지고 마사모토의 가신 우에하라 모토히데의 진영에 투항하여, 교토로 끌려가 료안지에 유폐되었다. 이때, 히노 도미코의 지시에 의해 요시타네가 독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 2. 유랑 생활과 쇼군 복귀
명응 2년(1493년) 호소카와 마사모토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유폐되었으나, 탈출하여 에치고국, 에치젠국 등 여러 지역을 전전하며 망명 생활을 했다.[3] 이 시기 요시타네는 여러 다이묘들의 지원을 받으며 쇼군 복귀를 목표로 했다.에이쇼 4년(1507년)에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암살되고, 마사모토의 3명의 양자 사이에서 호소카와 가문이 분열 상태(에이쇼의 혼란)에 빠지자, 요시타네는 쇼군으로 복귀할 기회로 보았다. 에이쇼 5년(1508년) 4월,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을 받아[7] 교토를 점령하고 쇼군직에 복귀했다. 그러나 오우치 요시오키가 스오국으로 귀국하자, 관령 호소카와 다카쿠니(마사모토의 양자)와 대립하였다. 다이에이 원년(1521년) 호소카와 하루모토·호소카와 모리타카를 의지하여 교토를 떠나 쇼군직을 빼앗겼다.[3]
2. 3. 재차 실각과 죽음
호소카와 다카쿠니가 관령(쇼군의 부관)이 되는 것에 요시타네는 강력하게 반대하여 다카쿠니는 축출되었다.[3] 그러나 다카쿠니는 아시카가 요시하루를 12대 쇼군으로 옹립하여 요시타네를 대신하게 했다.[8]결국, 호소카와 가문과의 권력 투쟁 끝에 요시타네는 아와지 섬으로 퇴각해야 했다. 다이에이 3년(1523년) 시코쿠 섬의 아와 국(현 도쿠시마현 아와시)에서 사망했다.[8]
3. 연호
年号|넨고일본어 혹은 ''넹고(nengō)''[11]는 아시카가 요시타네가 쇼군으로 재임했던 시기를 나타낸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아시카가 요시미 |
어머니 | 우라마쓰 시게마사의 딸 |
부인 | 세이운인 |
측실 | 야마나 토요시게의 딸 |
양자 | 아시카가 요시쓰나 |
자녀 | 다케와카마루, 딸 |
자녀에 대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추가로 존재하여 표에 내용을 추가하였다.
5. 평가 및 기타
- 쇼군직에서 쫓겨난 후 여러 지방을 유랑한 경위로 인해 "유랑 공방(流れ公方)", "섬의 공방(島の公方)" 등으로 불렸다.[36] 『음덕태평기(陰徳太平記)』에는 호소카와 다카쿠니(細川高国)와 대립하여 도망친 요시타네가 탄 배에 "타조야 이 나루토의 오키에 고쇼(御所)처럼 보이는 것은 묵을 곳 정해지지 않은 유랑 공방인가"라는 광가(狂歌)가 붙여졌다는 기록이 있다.
- 요시타네는 아들이 없었으나, 전 쇼군이자 대항자였던 요시즈미의 아들 요시이에를 양자로 삼았다. 요시타네 사후, 요시이에는 쇼군직을 계승한 형제인 요시하루와 대립하여, 아시카가 가는 요시타네파(요시타네·요시이에·요시히데·요시스케)와 요시즈미파(요시즈미·요시하루·요시테루·요시아키)의 두 파로 나뉘어 양통迭立의 상황을 만들어내 새로운 전란의 불씨가 되었다.[10]
- 『진총물어(塵塚物語)』의 「혜린원전님어사(恵林院殿様御事)」 항목에는 요시타네가 유랑 시절을 회고했다는 일화가 실려 있다. 이 중에서, 불안에 휩싸인 자신과 곤궁한 사람들을 목격한 요시타네가 "정치에 종사하는 자는 항상 자비로운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라는 심경에 이르렀다고 서술하고 있다.
- 1498년 8월 19일, 요시자이(義材)에서 요시이(義尹)로 개명할 때 아노 스에쓰나(阿野季綱)가 당시 에치고에 있던 요시자이의 개명을 청하여, 도보조 와나가(東坊城和長)에게 서장을 보냈다. 와나가는 15개의 개명 후보를 뽑았고, 그 중에서 요시자이는 요시이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고 『와나가쿄키(和長卿記)』에 기록되어 있다.
- 1513년 11월 9일, 요시이에서 요시타네(義稙)로 개명할 때도 도보조 와나가(東坊城和長)가 그 이름을 권했다고 『슈케이키(拾芥記)』에 기록되어 있다.
- 묘소
도쿠시마현 아난시의 사이코지에 묘가 있다.[39] 또한, 사망지인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의 오카자키성 터에 쇼군즈카(将軍塚)라고 불리는 곳이 있으며, 이곳 또한 요시타네의 묘소라고 전해지지만, 도굴당했는지 매장자는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 초상
요시타네 사후, 오우치 요시타카(大内義隆)가 산죠니시 사네타카에게 요시타네의 복장 등을 문의하여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40]고 하나, 확실한 현존 작품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도쿄국립박물관에는 메이지 초기 제작된 의관 차림의 모본이 전해지며, 원본은 쇼코쿠지의 탑두 호우코우지(豊光寺) 소장이다.

도지인상(속대 차림), 반나지상(속대 차림) 외에, 반나지상의 용모를 본떠 만든 목상이 도쿠시마현 아난시의 아난시립 아와쿠보・민속자료관에 있다. 또한, 도야마현 샤수이시의 호세이즈바시에 2개의 동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 1개는 수의 차림, 다른 하나는 갑옷 차림의 기마상이다.
5. 1. 유랑 공방
문명 9년(1477년) 응인의 난이 끝나고, 아버지 요시미를 따라 교토를 떠나 미노국으로 갔다. 1489년 종형이자 9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히사가 젊은 나이로 사망하자, 후계자로서 교토로 올라가 10대 쇼군이 되었다.쇼군이 된 후, 요시타네의 쇼군 취임을 반대했던 호소카와 마사모토와 대립하게 되었고, 1493년 쇼군직에서 쫓겨나 유폐되었으나(명응의 정변), 탈출하여 에치고국, 에치젠국으로 도망쳤다. 이후 여러 다이묘의 군사력을 동원하여 교토 탈환 및 쇼군 복귀를 목표로 망명 생활을 했다.
1508년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을 받아 교토를 점령하고 쇼군직에 복귀했다. 그러나 오우치 요시오키가 주방국으로 돌아가자 호소카와 다카쿠니(마사모토의 양자)와 대립하여, 1521년 호소카와 하루모토·호소카와 모리타카를 의지하여 교토를 떠나 쇼군직을 빼앗겼고, 1523년 망명지인 아와국에서 사망했다.
1491년 아버지 요시미가 사망한 후, 요시타네는 전 관령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와 협력하여 독자적인 권력 확립을 시도했다. 그러나 옹립 공로자인 히노 도미코와 호소카와 마사모토와는 대립했다. 같은 해 8월, 마사모토의 반대를 무릅쓰고 롯카쿠 다카요리 정벌을 재개하여 오미국에 출진, 다카요리를 추방하는 데 성공했다. 1493년 2월, 하타케야마 요시토요를 토벌하기 위해 다시 마사모토의 반대를 무릅쓰고 가와치국으로 갔다.
그러나 요시타네가 교토를 비운 사이, 교토에 남아 있던 호소카와 마사모토, 히노 도미코 등은 1493년 4월, 아시카가 요시즈미를 11대 쇼군으로 옹립하고 요시타네를 폐하는 봉기('''명응의 정변''')를 일으켰다. 마사모토는 군을 가와치국에 파견하여 요시타네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격파하고, 마사나가는 자결했다. 요시타네는 료안지에 유폐되었다.[29]
유폐된 요시타네는 1493년 6월 29일 측근들의 도움을 받아 교토를 탈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의 영토인 에치고국호세이즈로 가서 진보 나가사다를 의지했기 때문에 에치고 큐호(에치고 고쇼)라고 불렸다.
1498년 9월 '''요시타다'''로 개명한 요시타네는 에치젠국의 아사쿠라 사다카게에게로 이동했다.[30] 그 후, 1499년 7월 하타케야마 나오준과 동조하여 군사 공격으로 교토로 돌아가려 했지만 실패하고, 오우치 요시오키에게 의탁했다.
1507년 호소카와 마사모토가 암살되고 호소카와 가문이 분열 상태(에이쇼의 혼란)에 빠지자, 요시타다는 쇼군 복귀의 기회로 보고, 1508년 4월 오우치 가문의 군사력에 의지하여[33] 호소카와 다카쿠니 등의 세력과 함께 상륙했다.[34] 같은 해 6월 교토를 점령하고, 7월 쇼군직에 복귀했다.
쇼군직에서 쫓겨나 여러 지방을 떠돌아다닌 경위로 “유랑 공방(流れ公方)”, “섬의 공방(島の公方)” 등으로 불렸다.
5. 2. 두 번의 쇼군 재임
1490년 요시타네는 쇼군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493년 명응의 정변으로 호소카와 마사모토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11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즈미에게 쇼군직을 넘겨주었다.[6]1508년, 오우치 요시오키의 지원을 받아 교토를 점령하고 쇼군직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오우치 요시오키가 주방(周防)국으로 귀국하자 관령 호소카와 다카쿠니(마사모토의 양자)와 대립하였고, 1521년 호소카와 하루모토·호소카와 모리타카를 의지하여 교토를 떠나면서 쇼군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8] 이로써 요시타네는 무로마치 막부 역사상 유일하게 쇼군직을 두 번 역임한 인물이 되었다.
5. 3. 아시카가 가문의 분열
쇼군 요시타네는 자신의 사촌인 아시카가 요시츠나를 양자로 삼아 후계자로 지명했다.[9] 그러나 요시타네가 요절하면서, 그의 아버지가 새로 지명한 상속자가 쇼군 요시즈미로 쇼군직을 계승했다.[10]요시타네는 아들이 없었으나, 전 쇼군이자 대항자였던 요시즈미의 아들 요시이에를 양자로 삼았다. 요시타네 사후, 요시이에는 쇼군직을 계승한 형제인 요시하루와 대립하여, 아시카가 가문은 요시타네파(요시타네·요시이에·요시히데·요시스케)와 요시즈미파(요시즈미·요시하루·요시테루·요시아키)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다.[10] 이러한 상황은 새로운 전란의 불씨가 되었다.
6.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oogle Books
[2]
서적
Google Books
[3]
서적
[4]
서적
Google Books
[5]
서적
Google Books
[6]
서적
Google Books
[7]
서적
Google Books
[8]
서적
Google Books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Google Books
[12]
Kotobank
足利義稙
[13]
문서
多聞院日記
(추출 불가)
[14]
문서
後法成寺尚通公記
(추출 불가)
[15]
문서
二水記
(추출 불가)
[16]
문서
佐竹系図
続群書類従第5輯上系図部
1959-05-15
[17]
문서
佐竹系図
続群書類従第5輯上系図部
1959-05-15
[18]
문서
足利家官位記
[19]
문서
足利系図
続群書類従第5輯上系図部
1959-05-15
[20]
문서
清和源氏系図
続群書類従第5輯上系図部
1959-05-15
[21]
문서
系図纂要
[22]
서적
足利義稙
戎光祥出版
[23]
문서
平島殿先祖并細川家三好家覚書
[24]
문서
阿州将裔記
[25]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6]
서적
室町幕府全将軍・管領列伝
星海社
[27]
서적
中世武士選書33 足利義稙 戦国に生きた不屈の大将軍
戎光祥出版
[28]
학술지
将軍足利義材の政務決裁- 「御前沙汰」における将軍側近の役割 -
史学会
[29]
서적
室町期廷臣社会論
塙書房
[30]
서적
足利義稙 戦国に生きた不屈の大将軍
戎光祥出版
[31]
학술지
中世・部会報告 足利義尹政権考
大阪歴史学会
[32]
문서
大乗院寺社雑事記
(추출 불가)
[33]
문서
萩藩閥閲録
[34]
문서
堺鑑
続々群書類従第8地理部
1906-08-25
[35]
서적
大阪府史
大阪府
[36]
서적
御内書案
続群書類従第23輯下武家部
1518-12-02
[37]
서적
室町時代公武関係の研究
吉川弘文館
[38]
문서
4月7日 (旧暦)
[39]
문서
阿南市立阿波公方・民俗資料館の館内解説
[40]
서적
不審申条条
三条西家旧蔵
[41]
문서
公卿補任
1488-07-05
[42]
서적
公卿補任
1500
[43]
서적
三重県の歴史
山川出版社
[44]
문서
葛西晴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